본문 바로가기
뉴스를 보다가.../IT

가장 털리기 쉬운 최악의 패스워드 1위는?

by 궁금한잡쓰 2015. 1. 22.
반응형

가장 털리기 쉬운 패스워드 1위는?


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개토스에 본사를 둔 패스워드 관리 솔루션 업체 스플래시데이터(http://splashdata.com)는 '2014년 최악의 패스워드 25개' 명단을 발표했습니다.


2011년에 명단을 만들기 시작한 이래로 "123456"과 "password"가 2년 연속으로 1, 2위를 차지했다고 전했는데요, "qwerty", "dragon", "football"과 같은 패스워드들도 10위 안에 들어있었다고 합니다. 그리고 25개의 단 중에 무려 9개의 명단이 단순한 숫자 조합으로만 이루어진 패스워드였다고 합니다.


명단들을 보니 재미있는 패스워드들도 많았는데요. "696969". "batman", "iloveyou" 같은 패스워드들도 보이네요. 역시 한국과는 조금 다른 느낌이 있는데요. 그 이유는 이 조사가 북아메리카와 서유럽의 자료들로 분석되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. 아마도 한국의 자료로 조사를 한다면 조금 다를 수도 있겠지만, 숫자 조합으로 된 단순한 패스워드를 쓰시는 분들도 많을 것으로 여겨집니다.


흔한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것은 해커들에게 손쉬운 접근을 허락해줄 수 있기 때문에 조금 불편하더라도 복잡한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. 업체에서 제시한 몇가지 팁에 따르면


(1) 유명한 스포츠나 스포츠 팀 이름을 비밀번호로 사용하지 말 것

     - "baseball", "football"은 10위 안에, "hockey", "soccer", "golfer"는 100위 안에 들어 있음.

     - "yankees", "eagles", "steelers", "rangers", "lakers" 등도 100위 안에 들어 있음.


(2) 생일이나 태어난 년도를 사용하지 말 것, 아이나 관련되어 유추하기 쉬운 사람의 이름을 사용하지 말 것 

     - 1989, 1990, 1991, 1992 는 모두 100위 안에 들어 있음

     - "michael", "jennifer", "thomas", "jordan", "hunter", "michelle", "charlie", "andrew". "daniel" 은

        모두 50위 안에 들어 있음


비교적 단순하지만 우리가 쉽게 사용하게 되는 것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. 또한 100위 안에 좋아하는 단어나 구절, 취미, 유명한 운동선수, 자동차 브랜드. 영화 제목 들도 있었다고 하네요. 생각보다 단순한 비밀번호를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.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비밀번호들이 사용되는지는 잘 알 수 없지만, 그래도 우리가 비밀번호 관리를 잘 해야 한다는 경각심을 주는 자료인 것 같습니다.



다음은 업체에서 발표한 25위까지의 명단입니다. 다들 설마설마 하지 마시고 이런 종류의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계신다면 꼭!! 비밀번호를 변경하세요!!



RankPasswordChange from 2013
1123456No Change
2passwordNo Change
312345Up 17
412345678Down 1
5qwertyDown 1
6123456789No Change
71234Up 9
8baseballNew
9dragonNew
10footballNew
111234567Down 4
12monkeyUp 5
13letmeinUp 1
14abc123Down 9
15111111Down 8
16mustangNew
17accessNew
18shadowUnchanged
19masterNew
20michaelNew
21supermanNew
22696969New
23123123Down 12
24batmanNew
25trustno1Down 1



발표 기사 원문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http://splashdata.com/press/worst-passwords-of-2014.htm


비밀 번호는 말 그대로 자신만 알 수 있는 "비밀" 번호 이므로 남들이 유추하기 어려운 자신만의 비밀번호로 만드시고, 수시로 변경해 주시는 노력을 꼭 기울이시길 바랍니다^^


반응형